자각몽 앱 효과 검증, 꿈을 자유롭게 조종할 수 있는 방법

자각몽 앱

만약 꿈을 자유롭게 조종할 수 있다면, 어떤 테마파크도 따라올 수 없는 멋진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꿈”을 실현하는 열쇠가 바로 ‘자각몽’이다. ‘자각몽’이란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꿈속 세계를 자신의 뜻대로 조종할 수 있는 꿈을 말한다. 이미 자각몽을 꿀 확률을 높여주는 스마트폰 앱이 출시되었지만, 정말 효과가 있는 것일까? 미국의 신경과학자들이 검증한 결과, … Read more

가짜 치료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면 효과가 있는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 또는 가짜 약 효과란, 사실상 아무런 효과도 없는 단순한 알약일지라도 효과가 있다고 믿고 복용할 경우 실제로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리 몸은 생각보다 심리적인 영향에 많이 좌우되는 듯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같은 플라시보라도 색상, 브랜드 이미지, 가격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플라시보 효과의 신비한 힘에 대해 … Read more

강아지 리드줄 없이도 안전한 산책? 세계 최초 1번째 ‘가상 리드줄’ 등장

강아지 리드줄

이제 강아지 리드줄 없이 산책이 가능해지는 걸까? 강아지 산책에 리드줄 프리 옵션인  “세계 최초의 가상 강아지 리드줄”이 등장하였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산책 스타일을 실현한다고 한다. 미국의 한 기업이 개발한 “Roam 350″은 개와의 산책 중에 엉키거나 걸리는 리드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다. 목줄과 리모컨 양쪽에 적용된 독자적인 무선 기술로 인해, 리드줄 대신 진동이나 정전기 자극으로 개가 … Read more

14세 천재, AI 농약 검출기 ‘페스티캔드’로 미국 최고 젊은 과학자 등극

농업에서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고 풍작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농약을 사용한다. 그러나 농약은 건강에 유해할 수 있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농산물을 세척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려 한다. 이에 14세의 시리시 수바시는 헹군 후에도 식품에 남아있는 유해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그의 이러한 고민은 AI 기반의 핸드헬드 농약 검출기인 ‘페스티캔드(Pestiscand)’의 개발로 이어졌다. 이 발명품 … Read more

단편적 정보가 오히려 확신을 불러일으키는 인지 편향의 메커니즘

상황을 잘 알지 못하면서도 자신의 의견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친구 커플의 말다툼에 대해서 한쪽의 의견만 듣고 “분명히 걔가 잘못했어”, “너는 틀리지 않았으니 상대방에게 사과하게 만들어야 해”라는 확신을 갖게 되는 상황이 그러하다. 그런데, 이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인지 편향의 일종이며, 우리는 어떤 사안의 한 측면만 알고 있는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리기에 … Read more

태양계 9번째 행성, 플래닛 나인 존재 가능성은? 남은 22%의 미스터리

오랫동안 우주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태양계 외곽에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는 행성 “플래닛 나인(Planet Nine)”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일까? 그 행성이 숨어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78%를 조사한 결과, 그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로 인해 플래닛 나인이 실재할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지만, 아직 포기하기는 이르다. 남은 22%의 영역에 그것이 숨어 있을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설사 … Read more

지구의 문명은 칼다셰프 척도로 보면 1형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외계 문명을 찾을 수 없다?

SETI(지구 밖 지적 생명체 탐사)와 같은 프로젝트에서는 고도의 외계 문명을 찾기 위해 그들이 방출하는 전파 신호를 검출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정말로 올바른 접근일까?지금까지 전파 신호의 검출이 시도되어 온 것은 ‘그들’도 지구와 같은 과학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지구에 유리한 해석일 수 있다. 인류가 문명의 진화에서 어떤 단계에 있는지를 평가하는 카르다셰프 … Read more

로봇을 이용한 인간 머리 이식 수술, 10년 내 현실화될까

SF 영화나 공포 영화에서나 볼 법한 수술이 계획되고 있다. 로봇을 이용해 인간의 머리를 다른 인간의 몸에 이식하는 아이디어인데, 만약 이 계획이 현실화된다면, 로봇 기술을 활용한 머리 이식 수술이 10년 이내에 시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분자생물학자이자 영화 제작자이며 과학 커뮤니케이터인 하심 알가일리(Hashim Al-Ghaili)는 2022년에 “대량의 인공 자궁 장치로 아기를 키우는 베이비 팜”이라는 … Read more

허리케인은 어떻게 이름을 얻게 될까?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2024년 허리케인 시즌이 평소보다 발생 횟수가 많고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실제로 우리는 이미 평균 이상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는 많은 증거들을 매체를 통해 볼 수 있다. 폭풍이 육지에 상륙하기 전에 준비하는 혼란 속에서, 수십 년간 사용되어온 허리케인 명명 시스템이 없다면 각 허리케인을 구분하는 데에도 혼란이 더해졌을 것이다. 1950년대 이전까지 대서양 허리케인은 단순히 발생한 … Read more

남아프리카 부시벨트 화성암체에서 발견된 20억 년 전 암석에서 발견된 미생물

20억 년 전의 태고의 암석 틈에서 살아있는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암석 내에서 발견된 살아있는 미생물로는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사례다. 암석이 채취된 곳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백금 광상 중 하나로 알려진 남아프리카의 “부시벨트 화성암체(Bushveld Igneous Complex)”이다. 이 미생물은 도쿄 대학 등 연구팀이 발견했으며, 폐쇄된 암석 속에서 태고의 시절부터 살아남은 미생물은 지구 초기 생명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화성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