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나 편의점에서 음료를 사면, 무심코 집어 든 페트병을 뒤집어보게 될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보이는 게 있다.
탄산음료 페트병의 밑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꽃잎처럼 다섯 갈래로 갈라진 울퉁불퉁한 모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탄산음료 페트병 밑바닥의 돌기는 왜 있을까?
콜라나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 페트병을 자세히 보면, 밑바닥이 단순히 평평한 게 아니라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모양을 하고 있다. 이건 탄산이 들어 있는 음료를 안전하게 담아두기 위한 기술적인 장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런 모양을 채택하게 된 걸까?
1. 탄산의 강한 압력을 견디기 위해
탄산음료 페트병은 안쪽에서 늘 압력이 걸린 상태다. 액체 속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가 팽창하면서 병 내부를 꽉 누르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밑바닥이 평평하다면, 그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쉽게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될 수도 있다. 그래서 밑바닥을 다섯 갈래로 갈라 꽃잎처럼 돌기를 만든 거다. 이렇게 하면 힘이 고르게 분산돼, 병이 터지거나 찌그러질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2. 병을 안정적으로 세워두기 위해
압력이 분산되면 페트병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밑바닥이 울퉁불퉁한 덕분에 세워둘 때도 중심이 잡히고,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밑바닥뿐만 아니라 병 전체의 형태에도 과학적인 이유가 숨어 있다. 탄산음료 페트병이 둥근 원통형인 것도 마찬가지다. 원통 구조는 강도를 높이는 데 유리하고, 세워 두었을 때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가 흔히 보는 이 둥글고 밑바닥이 꽃잎처럼 갈라진 모양은 탄산가스를 품은 음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유통하기 위해 고안된 결과물이다.
마트에서 콜라를 집어 들 때, 혹은 편의점에서 사이다 뚜껑을 열기 전, 잠시 병 모양을 살펴보자.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만들어진 과학적 설계물이 눈앞에 있다는 걸 새삼 느낄 수 있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