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수, 매일 마셔도 괜찮을까? 위장이 약한 사람은 꼭 알아야 할 주의점

탄산수는 수분 보충도 되고, 특히 무가당 탄산수는 ‘건강에 좋을 것 같다’는 느낌이 있어서, 습관적으로 매일 마시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그런데 체질이나 마시는 방법에 따라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탄산수를 자주 마시는 사람일수록 알아두면 좋은 점과, 건강하게 마시는 방법을 정리했다.

 

탄산수가 ‘몸에 좋다’는 이미지는 어디서 왔을까?

탄산수는 마셨을 때 입안이 상쾌해지고, 약간 포만감도 생기니까
‘건강에도 좋고 속도 편한 느낌’이 드는 음료로 여겨지곤 한다.

게다가 탄산의 자극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위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소화가 잘되는 느낌도 있어서 자주 마시게 된다.

하지만 이 자극이라는 점이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위장이 약한 사람에겐 자극이 강할 수 있어

탄산수는 탄산가스가 위를 부풀게 만들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 위산 역류로 인한 속 쓰림
  • 공복 시 위가 더부룩한 느낌
  • 잦은 트림이나 복부 팽만감

특히 위장에 민감한 분들이나, 손발이 잘 차고 몸이 냉한 체질인 경우엔
강한 탄산수보다 약한 탄산수나 상온의 물로 대체하는 게 좋다.

실제로 역류성 식도염이나 위산 과다로 고생하는 분들은
탄산수로 인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한다.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될 수 있다

탄산수는 pH 수치상 ‘약산성’인데,
치아의 표면을 덮고 있는 법랑질은 pH 5.5 이하에서 서서히 녹기 시작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탄산수는 대부분 pH 5.0 전후의 약산성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입안에 머무는 방식으로 마시면 치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 식후나 자기 전에 천천히 조금씩 마시는 경우
  • 양치 후 탄산수를 마시는 경우
  • 하루 종일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경우

이런 행동은 ‘산에 의한 치아 침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탄산수를 마실 땐 입안에 오래 머무르지 않게 하고,
마신 뒤엔 가볍게 물로 입을 헹궈주는 게 좋다.

 

탄산수와 건강하게 잘 지내는 법

탄산수는 마시는 방식만 잘 지키면, 몸에 부담 없는 상쾌한 음료가 될 수 있다.
그럼 어떻게 마시는 게 좋을까?

  • 공복일 때나 자기 전엔 마시지 않기
  • 위장이 예민한 사람은 상온 상태로 마시기
  • 마신 뒤엔 입안을 헹궈서 치아 보호하기

아무리 몸에 좋다고 알려진 것이라 해도,
그게 내 몸에 맞는지, 지금 상태에 괜찮은지 살펴보는 게 가장 좋다.

REFERENC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