칫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행동 3가지와 올바른 교체 시기

치아를 깨끗하게 닦으려면 양치질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칫솔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가 먼저다.

만약 칫솔모가 손상된 상태로 계속 쓰고 있다면, 아무리 열심히 닦아도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구강 건강을 제대로 지키고 싶다면 우선, 칫솔의 수명을 줄이는 행동들을 체크하고 가자.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칫솔 사용 습관 3가지

 

칫솔에 뜨거운 물이나 표백제를 붓는다


요즘 대부분의 칫솔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플라스틱은 고온이나 강한 약품에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뜨거운 물이나 표백제에 닿으면 쉽게 휘거나 변색될 수 있다.

세균 제거를 한다는 의도로 뜨거운 물을 붓는 분도 계시겠지만, 오히려 칫솔을 망가뜨리는 행동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힘껏 이를 닦는다


양치할 때 힘을 너무 주면 칫솔모가 금방 벌어지고 상하게 된다.
칫솔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다.
세게 문지른다고 해서 더 잘 닦이는 건 아니니, 적당한 힘으로 부드럽게 양치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습한 칫솔 = 세균의 천국?!


양치 후에 칫솔을 젖은 채로 방치해 두면, 세균이 번식하기 딱 좋은 환경이 된다.
양치질이 끝난 뒤에는 칫솔에 묻은 이물질을 물로 깨끗이 씻어낸 다음,
물기를 충분히 털어내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 주자.

완전히 건조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칫솔에 붙어 있는 세균 수를 줄일 수 있다.

 

칫솔은 ‘한 달에 한 번’ 새 걸로

칫솔은 언제 바꾸는 게 좋을까? 정답은 ‘1개월에 한 번’이다.

지나치게 오래 사용한 칫솔은, 아무리 정성껏 닦아도 치석이나 프라그가 남기 쉽다.
특히 모가 벌어진 칫솔로 이를 닦으면, 치아 사이에 낀 플라그 제거 효과가 신품 대비 30%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

칫솔을 뒤에서 봤을 때, 모가 칫솔 헤드보다 바깥으로 튀어나오기 시작했다면, 그게 바로 교체 신호다.

겉으론 멀쩡해 보여도, 내부는 다를 수 있다
겉으로 볼 땐 칫솔모가 멀쩡해 보여도, 실제로는 이미 마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위생을 지키려면, 주기적인 교체가 필수다.

 


작은 습관 하나가 건강한 구강 상태를 만드는 시작일지도 모른다.
지금 칫솔, 한번 확인해보자.

REFERENC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