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은 매년 다양한 종류가 마트에 나오지만, 한 번에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남겨 두었다가 버섯을 상하게 해버린 경험은 다들 한 번쯤 있을 것이다. 그래서 버섯은 보통 냉동보관을 한다. 그래야 오래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냉동하면 효소 작용으로 인해 열을 가했을 때 향과 감칠맛이 더 살아난다.
이번 글에서는 표고버섯, 송이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등 다양한 버섯을 각각 어떻게 냉동보관하면 좋을지 적어봤다.
버섯 보관의 기본 수칙
모든 종류의 버섯에 적용되는 보관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
버섯은 씻지 않고 보관하기
물에 닿으면 풍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씻지 않고 보관하는 게 좋다. 먼지나 때가 신경 쓰일 땐 물에 적신 키친타월로 가볍게 닦아준다.
냉장과 냉동, 상황에 따라 다르게
당일 중으로 다 사용할 거라면 생으로 냉장 보관해도 괜찮다. 하지만 며칠 이상 둘 거라면 가급적 바로 냉동하는 걸 추천한다. 냉동 후 조리하면 세포벽이 깨지면서 효소 작용이 활발해지고, 감칠맛도 더 살아난다. 게다가 냉동보관하기 전에 손질까지 해 두면 더 편하다.
버섯 종류별 냉동 보관법
버섯은 종류에 따라 손질법과 보관법이 다르다.
표고버섯
밑동을 자르고 갓 부분만 냉동용 지퍼백에 담아 냉동한다.
약 한 달간 보관 가능하고, 얼어 있어도 바로 썰 수 있다. 통째로 얼리는 걸 추천한다.
느타리버섯
밑동을 자르고 작은 송이로 분리한 뒤 냉동용 봉투에 넣고 밀봉한다.
보관 기간은 약 1개월이다.
팽이버섯
밑동을 자르고 손으로 가볍게 뜯은 뒤 납작하게 눌러서 냉동용 봉투에 넣고 밀봉해 준다.
1개월간 보관 가능하다.
양송이버섯
밑동이 변색되었으면 자르고, 얇게 슬라이스해서 지퍼백에 납작하게 펴서 냉동한다.
보관 기간은 역시 1개월 정도다.
여러 가지 버섯을 한 번에, 믹스버섯 보관법
버섯을 이것저것 조금씩 남겼을 때는 ‘믹스버섯’을 만들어 냉동하면, 볶음요리, 솥밥, 피자 토핑, 국이나 전골, 곁들임 반찬까지 뭐든 활용 가능하니 편하다.
버섯은 종류마다 향도 맛도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신선도’가 생명이다. 물론 가능한 빨리 먹는 게 제일 좋지만, 냉동해서 생버섯과는 또 다른 매력을 이끌어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