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어 수명, 몇 년이 적당할까? 교체해야 하는 3가지 신호

아침에 머리를 말리거나, 샤워 후에 자연스럽게 손이 가는 드라이어는 매일 쓰는 가전제품이지만 “언제 샀더라?” 하고 생각해보면 벌써 5년, 6년째 사용 중인 사람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드라이어도 전자제품인 만큼 수명이 있고, 그 교체 시기를 놓치면 위험해질 수도 있다.
이번에는 슬슬 새로 바꿔야 할 때를 알려주는 드라이어 수명의 3가지 신호를 정리해봤다.

 

이상한 소리가 날 때

이상한 소리가 날 때

전원을 켰는데 ‘카라카라’, ‘딸깍딸깍’ 하는 낯선 소리가 들린다면, 이건 내부의 팬에 먼지가 쌓이거나 축이 틀어졌을 수 있다. 그대로 계속 쓰면 부품이 헐거워져 파손되거나 작은 조각이 튀어 나올 수도 있다.

브러시나 면봉으로 흡입구를 청소해도 여전히 소리가 난다면, 그건 이제 드라이더 수명이 다 됐다는 신호일 수 있다.
조금 귀찮더라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게 안전하다.

 

타는 냄새가 날 때

타는 냄새가 날 때

머리를 말리던 중 뭔가 탄 냄새, 혹은 콕 찌르는 듯한 자극 냄새가 느껴진다면 바로 사용을 멈추자.
드라이어 안에 쌓인 머리카락이나 먼지가 고열에 그을린 경우일 가능성이 크다.
이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면, 내부 온도가 급상승해 발화 위험까지 생긴다.

우선은 플러그를 뽑고,
송풍구 주변과 필터에 낀 먼지를 부드러운 솔이나 청소기로 제거해 준다.
하지만 청소 후에도 냄새가 남는다면, 그건 내부 부품이 이미 손상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이 약하거나 따뜻한 바람이 안 나올 때

스위치를 켰는데 바람이 약해졌다거나,
찬 바람만 나오고 따뜻한 바람이 안 나오는 경우도 경고 신호다.
이건 내부의 히터나 모터가 노화되거나 고장이 났을 가능성이 높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흡입구와 필터 점검입니다.
여기에 먼지가 쌓여 있으면 바람이 막히고,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부드러운 브러시나 청소기로 먼지를 털어낸 후 다시 켜보자.

만약 여전히 바람이 약하거나 차가운 바람만 나온다면,
이건 이미 부품의 수명이 다한 상태로 봐야 한다.
무리하게 계속 사용하면 머리도 잘 안 말릴 뿐 아니라, 전력 낭비도 심해진다.

 

드라이어 수명을 늘리기 위해 한 달에 한 번은 관리하기

드라이어의 평균 수명은 보통 3~5년 정도지만,
정기적으로 관리해주면 훨씬 오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흡입구의 먼지 제거는 가장 기본이다.
한 달에 한 번, 송풍구 안쪽과 필터 주변을 살짝 털어주는 것만으로도
과열이나 고장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사용 후에는 전원 플러그를 바로 뽑고, 선이 꼬이지 않게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다.
작은 습관 하나로 드라이어 수명을 몇 년은 늘릴 수 있다.

매일 쓰는 드라이어는 생활 속 전기 제품이라서 고장이 나도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지만,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있는 가전 중 하나다.

지금 한 번, 드라이어를 켜보고 귀를 기울여 보자.
낯선 소리나 냄새가 난다면, 새 제품을 맞이할 준비를 할 때다.

REFERENC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