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양변기는 ‘물탱크’, ‘변기 시트’, ‘변기 본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물탱크가 없는 ‘탱크리스 변기’도 점점 늘고 있지만, 기본 구조는 이 세 가지가 기준이다. 각 부위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묻는 오염물의 종류도 제각기 다르다.
첫 번째: 변기 시트의 ‘윗면’
변기 시트의 윗면은 사용자가 앉는 부분이기 때문에, 피부에서 나오는 ‘피지’나 ‘땀’ 등이 쉽게 묻는다.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정기적으로 닦지 않으면 어느 순간 검게 변색되어 버린다. 따라서 겉보기에 깨끗해 보여도, 정기적으로 윗면을 닦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피지로 인한 오염에는 ‘베이킹소다(중탄산소다) 스프레이’가 효과적이다. 스프레이 병에 물 1L와 베이킹소다 1작은술을 넣고 잘 흔들어 녹인 후, 수건이나 걸레에 뿌려 표면 전체를 꼼꼼히 닦아준다.
두 번째: 변기 시트의 ‘아랫면’
변기 시트의 아랫면에는 주로 ‘요석’과 ‘소변 착색’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오염이 쌓인다.
요석은 소변에 포함된 마그네슘, 칼슘이 응고되어 딱딱하게 굳어진 물질이다. 요석을 방치하면 불쾌한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된다. 심한 경우, 요석 덩어리가 배수관으로 흘러 들어가 막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 하나, ‘착색 오염’은 변기 시트 아랫면의 고무 부위에 잘 생긴다. 이는 소변이 변기 테두리에 남은 상태에서 시트를 닫아 생기는 것이다.
세 번째: 비데 일체형 변기와 본체의 ‘결합 부위’
비데와 변기 본체가 맞닿아 있는 결합 부위에도 소변이 튀어 들어가 오염이 쌓인다.
이곳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홀하기 쉽지만, 청소를 게을리하면 요석으로 굳어 떨어지기 어려운 얼룩이 된다.
요즘 대부분의 비데는 시트를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 번도 청소해본 적이 없다면, 설명서를 참고하여 열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이 결합 부위와 고무 패킹 부분에 붙은 요석과 착색 오염에는 ‘구연산 스프레이’가 제격이다.
스프레이 병에 물 200cc와 구연산 1작은술을 넣고 잘 흔들어 녹인 후, 수건에 뿌려 시트 아랫면 전체와 고무 부위를 집중적으로 닦아준다.
변기 시트의 오염은 피할 수 없는 것
보통 변기 청소를 할 때는, 눈에 띄게 더러운 변기 안쪽에만 신경이 집중되기 쉽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했듯이, 변기 시트 역시 매 사용 시마다 ‘피지, 땀, 소변’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똑같이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오염일수록 더 빨리 쌓이고 제거가 어려워지는 법이다. 특히 요석은 한번 굳으면 청소가 매우 까다로워지기 때문에, 보기엔 멀쩡해도 미리미리 닦아주는 습관이 중요하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방심하지 말자. 매일 몇 분만 투자하면, 청결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