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문명은 칼다셰프 척도로 보면 1형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외계 문명을 찾을 수 없다?

SETI(지구 밖 지적 생명체 탐사)와 같은 프로젝트에서는 고도의 외계 문명을 찾기 위해 그들이 방출하는 전파 신호를 검출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정말로 올바른 접근일까?지금까지 전파 신호의 검출이 시도되어 온 것은 ‘그들’도 지구와 같은 과학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지구에 유리한 해석일 수 있다. 인류가 문명의 진화에서 어떤 단계에 있는지를 평가하는 카르다셰프 … Read more

로봇을 이용한 인간 머리 이식 수술, 10년 내 현실화될까

SF 영화나 공포 영화에서나 볼 법한 수술이 계획되고 있다. 로봇을 이용해 인간의 머리를 다른 인간의 몸에 이식하는 아이디어인데, 만약 이 계획이 현실화된다면, 로봇 기술을 활용한 머리 이식 수술이 10년 이내에 시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분자생물학자이자 영화 제작자이며 과학 커뮤니케이터인 하심 알가일리(Hashim Al-Ghaili)는 2022년에 “대량의 인공 자궁 장치로 아기를 키우는 베이비 팜”이라는 … Read more

허리케인은 어떻게 이름을 얻게 될까?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2024년 허리케인 시즌이 평소보다 발생 횟수가 많고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실제로 우리는 이미 평균 이상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는 많은 증거들을 매체를 통해 볼 수 있다. 폭풍이 육지에 상륙하기 전에 준비하는 혼란 속에서, 수십 년간 사용되어온 허리케인 명명 시스템이 없다면 각 허리케인을 구분하는 데에도 혼란이 더해졌을 것이다. 1950년대 이전까지 대서양 허리케인은 단순히 발생한 … Read more

남아프리카 부시벨트 화성암체에서 발견된 20억 년 전 암석에서 발견된 미생물

20억 년 전의 태고의 암석 틈에서 살아있는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암석 내에서 발견된 살아있는 미생물로는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사례다. 암석이 채취된 곳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백금 광상 중 하나로 알려진 남아프리카의 “부시벨트 화성암체(Bushveld Igneous Complex)”이다. 이 미생물은 도쿄 대학 등 연구팀이 발견했으며, 폐쇄된 암석 속에서 태고의 시절부터 살아남은 미생물은 지구 초기 생명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화성을 … Read more

NASA, 버섯으로 우주 거주지 건설 추진

달이나 화성으로의 유인 탐사를 목표로 하는 NASA는 불가능을 가능하게 할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버섯을 이용한 자라나는 집”이라는 독특한 아이디어이다. 우주 거주지를 버섯, 정확히 말하면 “균류의 균사체”로 만들겠다는 연구를 진행 중인 것은 NASA 에임스 연구 센터의 팀이다. 이 팀은 이미 NASA의 “Innovative Advanced Concepts Program” 하에서 지원을 받고 있었는데, 이번에 연구팀은 … Read more

자각몽 속에서 자동차 조작 성공

미국의 스타트업 ‘REMspace’는 현실 세계와 꿈의 세계를 연결하는 기기를 개발 중이다. ‘자각몽’ 속에서 현실 세계의 디지털 자동차를 운전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 실험은 ‘자각몽을 꾸는 동안 현실 세계로부터 신호를 받아 적절히 반응할 수 있다’는 개념을 입증한 것으로, 연습을 통해 누구나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한다. 꿈에서 본 커피가 잠에서 깨어났을 때 실제로 완성되어 있는 … Read more

얼룩말화? 화성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흑백 줄무늬 암석이 발견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마치 얼룩말을 연상시키는 흑백 줄무늬가 있는 기이한 암석을 발견하고 그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다. 탐사 로버의 마스트에 높이 설치된 카메라가 얼룩말 암석을 포착한 것은 9월 초, 마침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경사를 오르고 있던 중이었다. 지금까지 화성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던 이 얼룩말 암석은 주변의 암석이나 암반과는 완전히 달랐다고 한다.   흑백 줄무늬를 … Read more

달 전역에서 물 존재 확인…우주 탐사에 새로운 길 열려

달의 극지방 그늘진 지역에만 물이 있을 것으로 알려졌으나, 달 전역에 물이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미국 행성과학연구소 등 국제 연구팀은 달 표면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모든 위도에서 ‘물’과 ‘수산기(OH)’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가 2008년과 2009년에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했다. 해당 데이터에는 달에서 반사된 적외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 Read more

유네스코 교사 부족 대응 AI 교육 플랫폼 플린트, 교육 지원 강화

유네스코가 발표한 교사 관련 글로벌 리포트에는 전 세계적으로 교사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고,. 이로 인해 유엔이 설정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 4인 ‘양질의 교육 보장’과 교육 2030 의제의 달성이 어려워질 전망이라고 한다. SDG 4는 모든 사람들이 평생 학습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교육 2030 의제는 이를 구체화하여 각국의 교육 시스템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 Read more

티디그레이드, 해양 미세플라스틱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브라질 페르남부쿠 연방대학교의 플라비아 드 프랑사 연구팀이 해양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이 작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력이 뛰어난 티디그레이드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브라질 페르남부쿠 대학 연구팀, 해양 미세플라스틱이 작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팀은 브라질 북동 해안의 모래 해변에서 간만기에 미소동물군(meiofauna)을 채집했다. 미소동물군은 약 45 마이크로미터에서 1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