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곤충

파리가 앉았던 음식 먹어도 될까?

맛있어 보이는 국물 안에 파리가 풍덩 빠졌다고 생각해보자.

배도 고픈데, 그냥 파리만 꺼내 국물만 후루룩 마시도 될 것 같지만, 과연 이 국물은 먹어도 안전한걸까?

파리가 앉았던 음식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집파리’는 독도, 침도, 심지어 송곳니 같은 이빨도 없다. 겉보기엔 그저 날아다니면서 이리저리 앉는 평범한 곤충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 파리의 식습관을 알고 나면 굉장히 기분이 더러울 것이다.

파리는 딱딱한 음식을 씹을 수 없다. 그렇기에 음식을 ‘녹여 먹는’ 과정을 거치는데, 침과 위액을 음식 표면에 토해내 그 물질을 말랑말랑하게 만든 다음, 음식물을 빨아들이며, 먹으면서 동시에 배설을 하고, 암컷이라면 알까지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 번 앉는다고 당장 큰 문제 생기겠어?’라고 비위가 강한 사람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파리가 무엇을 먹고 어디를 돌아다니느냐다. 파리는 썩은 음식물 쓰레기나 동물의 배설물을 헤집고 다니면서 수많은 병원균을 몸에 달고 다니는데, 파리는 살모넬라나 결핵균, 촌충 등 100가지가 넘는 질병과 기생충을 옮길 수 있다.

또한,

파리가 아주 잠깐이라도 음식 위에 앉았을 때, 이미 그 다리에 붙어 있는 각종 세균이 순식간에 음식 속으로 옮겨갈 수 있다. 특히 파리 다리는 병원성 미생물의 ‘핵심 운반 경로’로 간주된다. 공중에 붕 떠 있다가도, 잠깐 착륙하는 그 순간 음식물이 세균의 새로운 번식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음식을 열심히 만들고 예쁘게 담아놨는데, 어느새 날아온 파리 한 마리가 그 모든 정성을 망쳐버릴 수 있다니, 당장이라도 화가 치밀어 오를 법하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걸 계속 먹어야 하나, 버려야 하나?’라는 질문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버리는 게 안전하다

 

파리가 한 번이라도 발자국을 찍고 간 음식이라면, 아쉽지만 아까워도 버리는 것이 좋다. 아쉬움으로 그 음식을 그대로 섭취했다가, 혹시 모르는 병원성 세균에 노출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그 세균에 감염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위험 가능성을 무시하기에는 파리가 지닌 ‘이동식 전염 매개체’ 성격이 너무나 선명하다.

이쯤 되면, ‘평소에 파리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사실 야외나 피크닉 장소라면, 음식을 꼭 필요한 순간까지 뚜껑으로 덮거나 밀봉해 두는 것부터가 시작이다. 식당에서 날벌레가 보인다면, 억지로 그냥 먹지 말고 가급적 새로운 음식을 요청하는 게 안전하다.

REFERENCE

ideau

Recent Posts

콩고의 미확인 생물(UMA) ‘모켈레 음벰베’의 목격담이 잇따르고 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중앙아프리카의 콩고 분지에서 미확인 생물(UMA)인 ‘모켈레 음벰베’를 봤다는 증언이 갑자기 부쩍 늘었다고 한다. 누군가는 “긴…

19시간 ago

전신마취 후 모국어를 잃은 17세 소년, ‘외국어 증후군’ 실제 사례

2022년, 축구를 좋아하던 평범한 17세 소년이 경기 도중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결국 수술을 받기로…

3일 ago

멸종된 새가 190년 만에 돌아오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주는 단어다. 그런데, 2025년에…

3일 ago

여름·겨울철 상하지 않게 바나나 보관하는 꿀팁

마트에서 사온 바나나 한 송이를 집에 가져와 부엌 한켠에 두었을 뿐인데, 며칠 뒤 검게 물들어져…

5일 ago

배터리도 모터도 없다? 손끝 크기 ‘초소형 비행 로봇’이 하늘을 날았다

손가락 끝에 올릴 정도로 아주 작은 로봇이,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면 어떨까? 게다가 배터리도…

6일 ago

스마트폰·PC 시대, ‘눈 건강’ 지키는 간단한 방법

화면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시대라는 말이 이제는 과장이 아닐 것이다. 일이나 공부는 물론이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