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이야기

이상적인 영화 상영 시간은 몇 분일까? 미국 조사 결과 “92분”이 최적의 길이

물론 작품의 재미나 개인의 집중력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조사에 따르면, 92분(1시간 32분)이 이상적인 길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2시간을 넘거나, 심지어 3시간이 넘는 영화도 드물지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1시간 30분 정도의 상영 시간 안에 기승전결이 확실히 있는 영화를 편안하게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적인 영화 상영 시간은?

 

미국의 리서치 회사인 “Talker Research”가 2,000명의 미국인(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92분(1시간 32분)이 가장 적절한 영화 상영 시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한편, 너무 긴 영화는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20분(2시간)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5%, 2시간 반 이상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단 2%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지난 60일간 본 영화 중 2편은 너무 길다고 느꼈으며, 23%의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3편 이상의 긴 영화를 시청했다고 답했다. 최근에는 2시간을 넘는 영화가 적지 않다. 영화 업계에서는 긴 작품일수록 좋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는 것 같지만, 관객들은 너무 긴 영화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으며, 제작진 측에서도 상영 시간을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영화에 자막을 넣을까, 말까?

 

이번 조사에서는 영화 자막에 대한 설문 조사도 함께 진행되었다. 집에서 영화를 시청할 때 15%의 사람들은 자막을 넣을지 말지를 두고 가족 간에 설왕설래 생긴다고 답했다. 한편, 77%의 사람들은 자막의 유무가 상관없다고 답했다.

조사 대상자의 33%는 집에서 영화를 볼 때 자막을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16%의 사람들은 항상 자막을 사용한다고 답했다. 최근에는 비용 대비 시간 효율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TV 프로그램이나 영상 등을 빨리 감기로 시청하는 사람이 증가했다고 한다. 이런 경향은 영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지 모른다.

참고로, 집중력이 부족한 나의 경우에는 영화는 역시 1시간 30분 정도의 길이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며, 가장 기억에 오래 남는다고 느낀다. 너무 길면 영화를 보고 난 후, 인터넷에서 줄거리를 다시 확인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등장인물이 너무 많으면 머리가 따라가지 못할 때가 많다. 여러분은 어떤가?

 

VIA

ideau

Recent Posts

전신마취 후 모국어를 잃은 17세 소년, ‘외국어 증후군’ 실제 사례

2022년, 축구를 좋아하던 평범한 17세 소년이 경기 도중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결국 수술을 받기로…

21시간 ago

멸종된 새가 190년 만에 돌아오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주는 단어다. 그런데, 2025년에…

22시간 ago

여름·겨울철 상하지 않게 바나나 보관하는 꿀팁

마트에서 사온 바나나 한 송이를 집에 가져와 부엌 한켠에 두었을 뿐인데, 며칠 뒤 검게 물들어져…

3일 ago

배터리도 모터도 없다? 손끝 크기 ‘초소형 비행 로봇’이 하늘을 날았다

손가락 끝에 올릴 정도로 아주 작은 로봇이,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면 어떨까? 게다가 배터리도…

3일 ago

스마트폰·PC 시대, ‘눈 건강’ 지키는 간단한 방법

화면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시대라는 말이 이제는 과장이 아닐 것이다. 일이나 공부는 물론이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3일 ago

우주에서 버섯 키울 예정인 스페이스X

2025년 3월 31일에서 4월 1일(현지시간) 사이, 우주에서 버섯 재배가 시작될 예정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느타리버섯이다.  …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