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기술과 과학

음악을 즐기는 사람은 유전일까?

최근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의 연구 기관들이 9,000쌍이 넘는 쌍둥이를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음악을 즐기는 사람’은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음악에 귀기울이며 감동을 받는 정도가 절반 이상(약 54%)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 가만 생각해 보면, 어떤 사람들은 이어폰을 끼고 몇 시간이고 음악에 빠져들지만, 음악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 또한 있을 것임으로, 고개가 “그럴 수 있지”라며 끄덕여진다.

이를테면, 어떤 곡을 들으면 눈물이 울컥 쏟아진다거나, 춤을 추고 싶어서 몸이 들썩일 만큼 흥이 올라오는 현상도 어느 정도는 “유전자 탓”일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연구진은 이걸 두고 “음악적 재능이나 일반적인 즐거움과 딱 맞아떨어지는 개념”은 아니라고 말한다. 예컨대 노래를 잘 부른다든지, 악기를 잘 다룬다든지 하는 능력하고는 별개라는 것이다. 심지어 “평소에 다른 취미생활을 잘 즐기는가?”라는 점과도 완전히 같지는 않다. 다시 말해, 음악만 들으면 깊은 몰입 상태에 빠지지만,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흥미를 못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다는 뜻이다.

또한, 이 ‘음악을 통해 기쁨을 느끼는 능력’이 세분화되어 있다고 한다. 이를테면, 리듬에 맞춰 자연스럽게 춤을 추는 것과 감정을 폭발시키며 감동을 느끼는 것, 혹은 여러 사람과 함께 연주하며 협동의 묘미를 즐기는 것 등이 각각 다른 유전자 경로와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마치 한 사람 안에도 다양한 취향의 스위치가 있어서, 어떤 스위치는 어릴 때부터 눌려 있고, 어떤 스위치는 언제 그 버튼이 작동될지 모른다는 식이다.

그렇지만 “음악을 좋아하는 마음”의 절반 이상이 유전적이라 해서, 모두가 똑같이 음악을 사랑하게 된다거나, 환경이 전혀 중요치 않다는 얘기는 아니다. 개인의 성장 환경,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 다양한 경험 등이 서로 뒤엉켜, 결국에는 “난 이 곡을 들을 때마다 추억이 떠올라서 좋아”라는 식의 개별적 반응을 만들어낸다. 어떤 사람은 클래식 음악에 열광하고, 다른 누군가는 힙합이나 록 음악에서 인생의 활력을 찾는다. 유전은 그 방향성과 감수성을 어느 정도 정해줄 뿐, 구체적인 취향과 깊이 있는 즐거움은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길러지는 셈이다.

물론, 아직은 밝혀야 할 부분이 많다. 음악을 전혀 즐기지 못하던 사람이 어느 계기를 통해 갑자기 음악에 푹 빠진 사례도 있고, 가족은 모두 노래와 거리가 먼데 혼자만 대단한 음악적 열정을 뽐내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의문을 풀어가다 보면, 언젠가 우리는 우리의 뇌와 마음이 어떻게 감동을 느끼고, 어떻게 예술을 향유하는지 한층 선명히 알게 될 것이다.

REFERENCE

ideau

Recent Posts

수박에 소금을 곁들이면 좋은 이유 3가지

여름이 되면 많이 먹게 되는 과일 중 하나가 수박일 것이다. 그리고 수박에 소금을 뿌려 먹는…

19시간 ago

말라버린 식빵 살리는 방법|굽기 전에 ‘이것’만 하면 달라진다

구입한지 며칠 지나버렸거나, 접시에 꺼내놨다가 결국 먹지 않게 된 식빵은 딱딱하게 말라버려서 다시 먹으려 해도…

2일 ago

여름 차 안 보관 금지 물건 3가지 여름 차 안에 절대 두지 말기

무더운 여름철, 차로 이동할 일이 많아지는 요즘. 꼭 조심해야 할 게 하나 있다. 차 안에…

3일 ago

피부가 건조하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당뇨병 징후일 수도 있다?

"자꾸 피부가 건조해져서 보습제를 발라도 가렵고 각질이 일어나요.” 이런 증상을 겪고 있다면, 단순한 건성 피부가…

4일 ago

고무줄 하나로 양배추 채 썰기가 쉬워진다

식탁에도 자주 올라오고, 돈가스 곁들이로도 빠지지 않는 익숙한 반찬이 양배추다. 하지만 정작 잘 양배추 채…

5일 ago

여름 샤워 절약 팁 3가지, 수도요금·가스비 둘 다 줄이는 방법

날씨가 점점 더워지면, 목욕보다는 샤워로 후다닥 씻고 끝내는 날들이 부쩍 는다. 그런데 여기서 걱정되는 게…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