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과학

왜 보조개를 가지고 있을까?

1923년, 에반젤린 I. 길버트라는 사람이 아주 독특한 발명품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름하여 “보조기구로 보조개를 만드는 장치”. 이 장치는 금속으로 된 얼굴 스트랩에 두 개의 손잡이가 달려 있었고, 이를 통해 볼에 작은 자국을 남기도록 설계되었다. 요즘 시각으로 보면 다소 황당한 발명품이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보조개가 얼마나 매력적인 요소로 여겨졌는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보조개는 웃을 때 얼굴에 생기는 작은 움푹 파인 자국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 자국을 사랑스럽게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어떤 사람은 보조개가 있고, 어떤 사람은 없는 걸까? Bustle이라는 매체에 따르면, 그 이유는 이라는 얼굴 근육에 있다고 한다. 이 근육은 광대뼈에서 입가로 이어지며, 우리가 웃을 때 입꼬리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보조개가 없는 사람들의 대관골근은 한 줄로 이어져 있는 반면, 보조개가 있는 사람들은 이 근육이 입 주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웃을 때 이 갈라진 부분이 보조개로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모든 보조개의 원인이 대관골근의 갈라짐이라고 확정한 것은 아니다. 얼굴에는 수많은 근육들이 서로 얽혀 있고, 다양한 근육의 변화로 보조개가 생길 수 있다. 즉, 보조개가 생기는 원인은 한 가지로 단정 짓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육 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답이 없다. 보조개가 있는 부모에게서 보조개가 있는 자녀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많은 연구자들이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본다. 과거에는 보조개가 우성 형질로 간주되어 부모가 모두 보조개를 가지고 있다면 자녀도 보조개가 생긴다고 믿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보조개는 “불규칙한 우성 형질”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는 유전될 가능성이 높지만 예외도 많다는 뜻이다. 즉, 여러 유전자가 조합되어 보조개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VIA

ideau

Recent Posts

아이와 함께 즐기는 테니스공 재활용, 벽걸이 수납으로 변신

집 안 어딘가에 쓰지 않고 남아 있는 테니스공이 있다면, 약간의 손질만 더하면 쓸모 있는 아이템으로…

8시간 ago

딸이 잘라낸 머리카락, 마지막 이별의 약속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1일 ago

남은 소면으로 만드는 소면 프렌치토스트 레시피

소면은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고 맛도 좋아 자주 먹게 되지만, 한 번 끓일 때 양을…

2일 ago

번개가 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3가지와 안전수칙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이 갑작스러운 천둥 번개다. 문제는 우리가 무심코 하는 행동 하나가 큰 사고로…

3일 ago

조급함에 휘둘리지 않는 삶|좋은 인생은 뒤늦게 완성된다

"좋은 술은 오래 익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좋은 술은 숙성될수록 맛이 깊어지고 좋아지는 것처럼 좋은 결과나…

4일 ago

전쟁터에서의 은혜와 할아버지의 마지막 말씀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