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기술과 과학

얼룩말화? 화성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흑백 줄무늬 암석이 발견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마치 얼룩말을 연상시키는 흑백 줄무늬가 있는 기이한 암석을 발견하고 그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다. 탐사 로버의 마스트에 높이 설치된 카메라가 얼룩말 암석을 포착한 것은 9월 초, 마침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경사를 오르고 있던 중이었다. 지금까지 화성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던 이 얼룩말 암석은 주변의 암석이나 암반과는 완전히 달랐다고 한다.

 

흑백 줄무늬를 가진 얼룩말 암석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프레이야 캐슬(Freya Castle)’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얼룩말 암석은 문자 그대로 얼룩말처럼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기이한 무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NASA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그 화학적 조성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현재 해석으로는 화성 활동 또는 변성 작용이 그 줄무늬를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마그마가 굳어서 생겼거나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암석의 조성이 변화하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프레이야 캐슬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얼룩말 암석은 직경 약 20cm 정도다. 아래의 암반과는 붙어 있지 않으며, 종류도 다르기 때문에 원래는 다른 장소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예를 들어, 크레이터의 위쪽에서 굴러 내려왔을 가능성도 있다.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언덕을 오르던 중 만난 발견

 

사실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는 한 달 전부터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언덕을 오르고 있었다. 이는 이 탐사 로버에게 있어 다섯 번째 과학 캠페인이 되는 ‘크레이터 림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프레이야 캐슬은 그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암석이 정말 위에서 굴러 내려온 것이라면, 앞으로 등산 중 같은 종류의 암석을 만날 가능성도 있다.

 

VIA

ideau

Recent Posts

빵클립재활용 꿀팁 | 칫솔 스탠드 대신 쓰는 아이디어

식빵 봉지를 묶을 때 사용하는 빵클립은 대부분 그냥 버리기 마련인데, 세면대에서 아주 유용하게 쓸 수…

4시간 ago

수박에 소금을 곁들이면 좋은 이유 3가지

여름이 되면 많이 먹게 되는 과일 중 하나가 수박일 것이다. 그리고 수박에 소금을 뿌려 먹는…

1일 ago

말라버린 식빵 살리는 방법|굽기 전에 ‘이것’만 하면 달라진다

구입한지 며칠 지나버렸거나, 접시에 꺼내놨다가 결국 먹지 않게 된 식빵은 딱딱하게 말라버려서 다시 먹으려 해도…

2일 ago

여름 차 안 보관 금지 물건 3가지 여름 차 안에 절대 두지 말기

무더운 여름철, 차로 이동할 일이 많아지는 요즘. 꼭 조심해야 할 게 하나 있다. 차 안에…

3일 ago

피부가 건조하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당뇨병 징후일 수도 있다?

"자꾸 피부가 건조해져서 보습제를 발라도 가렵고 각질이 일어나요.” 이런 증상을 겪고 있다면, 단순한 건성 피부가…

4일 ago

고무줄 하나로 양배추 채 썰기가 쉬워진다

식탁에도 자주 올라오고, 돈가스 곁들이로도 빠지지 않는 익숙한 반찬이 양배추다. 하지만 정작 잘 양배추 채…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