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기술 및 과학

얼룩말화? 화성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흑백 줄무늬 암석이 발견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마치 얼룩말을 연상시키는 흑백 줄무늬가 있는 기이한 암석을 발견하고 그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다. 탐사 로버의 마스트에 높이 설치된 카메라가 얼룩말 암석을 포착한 것은 9월 초, 마침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경사를 오르고 있던 중이었다. 지금까지 화성에서 발견된 적이 없었던 이 얼룩말 암석은 주변의 암석이나 암반과는 완전히 달랐다고 한다.

 

흑백 줄무늬를 가진 얼룩말 암석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프레이야 캐슬(Freya Castle)’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얼룩말 암석은 문자 그대로 얼룩말처럼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기이한 무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NASA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그 화학적 조성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현재 해석으로는 화성 활동 또는 변성 작용이 그 줄무늬를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마그마가 굳어서 생겼거나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암석의 조성이 변화하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프레이야 캐슬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얼룩말 암석은 직경 약 20cm 정도다. 아래의 암반과는 붙어 있지 않으며, 종류도 다르기 때문에 원래는 다른 장소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예를 들어, 크레이터의 위쪽에서 굴러 내려왔을 가능성도 있다.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언덕을 오르던 중 만난 발견

 

사실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는 한 달 전부터 제제로 크레이터의 가파른 언덕을 오르고 있었다. 이는 이 탐사 로버에게 있어 다섯 번째 과학 캠페인이 되는 ‘크레이터 림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프레이야 캐슬은 그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암석이 정말 위에서 굴러 내려온 것이라면, 앞으로 등산 중 같은 종류의 암석을 만날 가능성도 있다.

 

VIA

ideau

Recent Posts

음악을 즐기는 사람은 유전일까?

최근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의 연구 기관들이 9,000쌍이 넘는 쌍둥이를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음악을 즐기는 사람’은 유전적인…

10시간 ago

직장 내 배경음악, 업무 생산성 높일까 방해할까?

레스토랑, 카페, 의류 매장 등 사람들이 자주 드나드는 상업 공간에서는 자연스럽게 배경음악이 흐르는 경우가 많다.…

1일 ago

파리가 앉았던 음식 먹어도 될까?

맛있어 보이는 국물 안에 파리가 풍덩 빠졌다고 생각해보자. 배도 고픈데, 그냥 파리만 꺼내 국물만 후루룩…

2일 ago

콩고의 미확인 생물(UMA) ‘모켈레 음벰베’의 목격담이 잇따르고 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중앙아프리카의 콩고 분지에서 미확인 생물(UMA)인 ‘모켈레 음벰베’를 봤다는 증언이 갑자기 부쩍 늘었다고 한다. 누군가는 “긴…

3일 ago

전신마취 후 모국어를 잃은 17세 소년, ‘외국어 증후군’ 실제 사례

2022년, 축구를 좋아하던 평범한 17세 소년이 경기 도중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결국 수술을 받기로…

5일 ago

멸종된 새가 190년 만에 돌아오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주는 단어다. 그런데, 2025년에…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