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자연

산의 높이는 어떻게 측정할까?

에베레스트 산은 해발 8,849미터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이 산의 높이를 정확하게 알게 되었을까? 산 꼭대기에 누군가 올라가서 줄자로 재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줄자가 그렇게 길지도 않은데 말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사람들은 어떻게 산의 높이를 측정할까?

삼각법을 이용한 산의 높이 측정 방법

 

먼저, 학교에서 배우던 삼각법을 떠올려 보자. 산의 높이를 재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삼각측량’이다. 이 방법은 지상에 있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그 두 지점에서 산의 꼭대기를 바라보는 각도를 이용해 산의 높이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단순히 각도만 재서 되는 것은 아니다. 해수면을 기준으로 산의 높이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하려는 지점의 해발 고도도 알아야 하고, 지구의 곡률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도구가 바로 ‘신오라이트’다. 신오라이트는 망원경처럼 생긴 도구로, 수평과 수직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광학 기기다. 두 지점에서 산의 꼭대기를 향해 신오라이트를 사용해 각도를 측정한 뒤,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알면 삼각법 공식을 활용해 산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대기 굴절과 측정 오차

 

하지만 이 방법이 항상 정확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9세기 중반 영국의 앤드류 스콧 워 경과 그의 팀이 에베레스트 산을 측정할 당시, 대기 중의 빛 굴절 문제로 인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했다. 공기의 밀도 변화로 인해 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대기 굴절’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장거리 측정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대기 굴절은 물체를 실제보다 높거나 낮게 보이게 만들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다.

 

GPS 기술로 산의 높이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오늘날에는 GPS 기술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준다. GPS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해 특정 지점의 정확한 위치와 고도를 측정한다. 삼각측량과 달리 GPS는 대기 굴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에베레스트처럼 지진과 같은 지질학적 변화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산들을 측정할 때, GPS는 매우 유용하다. GPS 기술 덕분에 우리는 산의 높이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높이까지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VIA

ideau

View Comments

Recent Posts

인간 언어의 기원, 쥐 실험으로 밝혀지다? NOVA1 유전자

  언어는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구별 짓는 몇 안 되는 능력 중 하나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6시간 ago

8년 연속 1위 핀란드 ‘세계 행복지수 순위’에서 배우는 진정한 행복이란?

행복이란 과연 무엇일까?" 아마 누구나 한 번쯤은 스스로에게 던져봤을 질문일 것이다. 돈일까, 건강일까, 아니면 따뜻한…

16시간 ago

세계 최초 ‘로봇 하프마라톤’ 개최! 인간과 함께 달린 21대 휴머노이드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하프 마라톤 대회에서 역사적인 순간이 만들어졌다. 1만 2천 명의 참가자와 함께,…

19시간 ago

10살 소년 ‘묘지 관리사’ 벤의 선한 사업

어떤 아이들은 축구를 즐기고, 또 어떤 아이들은 크레용으로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 하지만 영국 더비셔 주…

20시간 ago

미국은 왜 높은 관세를 부과했을까?

미국과 중국, 두 경제 대국이 무역을 둘러싸고 정면 충돌하면서 이른바 무역전쟁의 막이 올랐다. 특히 서로에게…

2일 ago

제철 채소 아스파라거스, 신선하게 고르는 법부터 버터 소테 레시피·영양 효능까지 총정리

싱그러운 봄 제철 채소인 아스파라거스는 독특한 향과 아삭한 식감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채소다. 봄이 되면…

2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