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자연

산의 높이는 어떻게 측정할까?

에베레스트 산은 해발 8,849미터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이 산의 높이를 정확하게 알게 되었을까? 산 꼭대기에 누군가 올라가서 줄자로 재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줄자가 그렇게 길지도 않은데 말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사람들은 어떻게 산의 높이를 측정할까?

삼각법을 이용한 산의 높이 측정 방법

 

먼저, 학교에서 배우던 삼각법을 떠올려 보자. 산의 높이를 재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삼각측량’이다. 이 방법은 지상에 있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그 두 지점에서 산의 꼭대기를 바라보는 각도를 이용해 산의 높이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단순히 각도만 재서 되는 것은 아니다. 해수면을 기준으로 산의 높이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하려는 지점의 해발 고도도 알아야 하고, 지구의 곡률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도구가 바로 ‘신오라이트’다. 신오라이트는 망원경처럼 생긴 도구로, 수평과 수직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광학 기기다. 두 지점에서 산의 꼭대기를 향해 신오라이트를 사용해 각도를 측정한 뒤,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알면 삼각법 공식을 활용해 산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대기 굴절과 측정 오차

 

하지만 이 방법이 항상 정확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9세기 중반 영국의 앤드류 스콧 워 경과 그의 팀이 에베레스트 산을 측정할 당시, 대기 중의 빛 굴절 문제로 인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했다. 공기의 밀도 변화로 인해 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대기 굴절’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장거리 측정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대기 굴절은 물체를 실제보다 높거나 낮게 보이게 만들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다.

 

GPS 기술로 산의 높이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오늘날에는 GPS 기술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준다. GPS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해 특정 지점의 정확한 위치와 고도를 측정한다. 삼각측량과 달리 GPS는 대기 굴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에베레스트처럼 지진과 같은 지질학적 변화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산들을 측정할 때, GPS는 매우 유용하다. GPS 기술 덕분에 우리는 산의 높이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높이까지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VIA

ideau

View Comments

Recent Posts

아이와 함께 즐기는 테니스공 재활용, 벽걸이 수납으로 변신

집 안 어딘가에 쓰지 않고 남아 있는 테니스공이 있다면, 약간의 손질만 더하면 쓸모 있는 아이템으로…

7시간 ago

딸이 잘라낸 머리카락, 마지막 이별의 약속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1일 ago

남은 소면으로 만드는 소면 프렌치토스트 레시피

소면은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고 맛도 좋아 자주 먹게 되지만, 한 번 끓일 때 양을…

2일 ago

번개가 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3가지와 안전수칙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이 갑작스러운 천둥 번개다. 문제는 우리가 무심코 하는 행동 하나가 큰 사고로…

3일 ago

조급함에 휘둘리지 않는 삶|좋은 인생은 뒤늦게 완성된다

"좋은 술은 오래 익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좋은 술은 숙성될수록 맛이 깊어지고 좋아지는 것처럼 좋은 결과나…

4일 ago

전쟁터에서의 은혜와 할아버지의 마지막 말씀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