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바다는 왜 짠 걸까?

바다의 짠맛은 바다가 강이나 호수와 같은 담수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그렇다면 바닷물이 왜 이렇게 짠 걸까?

 

| 먼저 소금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화학적으로 소금은 두 종류의 이온, 즉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해 만들어진 화합물이다. 양이온은 양성자가 전자보다 많아 양전하를 띠고, 음이온은 전자가 양성자보다 많아 음전하를 띤다. 서로 반대 전하를 띤 이온들은 서로를 끌어당겨 소금 같은 화합물을 형성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식탁용 소금, 즉 염화나트륨은 나트륨(양이온)과 염소(음이온)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바다의 염분은 염화나트륨만이 아니다. 바닷물에는 마그네슘, 칼슘, 황산염 같은 다양한 이온들이 녹아 있다. 이는 대부분 육지의 암석에서 비롯된 것이다.

 

| 그렇다면 소금은 어디서 오는 걸까?

 

주된 원천은 바로 암석이다. 빗물에는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어 약간 산성을 띤다. 이 빗물이 내리면 암석을 침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암석 속의 다양한 미네랄들이 녹아 나온다. 이러한 미네랄들이 강과 하천을 따라 이동하며 바다로 유입된다. 결국 바다는 육지에서 온 다양한 이온들의 집합소가 되는 것이다. 실제로 바닷물의 약 85%가 나트륨과 염소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10%는 마그네슘과 황산염이 차지한다.

하지만 모든 소금이 바다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바다 생물들이 이를 섭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강과 하천의 물 덕분에 바다의 염분 농도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바닷속 깊은 곳의 열수구와 해저 화산도 바다의 염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수구는 지구의 지각 아래 마그마에 의해 가열된 물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미네랄을 방출하는 곳이며, 해저 화산은 뜨거운 용암과 함께 다양한 미네랄을 바닷물에 추가한다.

흥미롭게도 바다의 모든 부분이 똑같이 짠 것은 아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해는 건조한 기후로 인해 증발이 많아 바닷물이 더욱 짜다. 반면 적도 지역은 강한 일사량과 잦은 비로 인해 염분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바다의 염분은 단순히 바닷물의 본래 성질이 아니라, 수백만 년에 걸친 자연의 ‘염분 주고받기’ 과정의 결과다.

 

VIA

ideau

Recent Posts

드라이어 전기요금 줄이는 법! 머릿결 살리고 시간도 아끼는 3가지 습관

매일 아무 생각 없이 돌리는 드라이어, 사실은 전기를 제법 잡아먹는 ‘전력 괴물’이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

9시간 ago

핵폭탄 터지면 얼마나 떨어져야 살 수 있을까?

지구에는 이미 1만 2,000발이 넘는 핵탄두가 존재한다. 만에 하나, 핵폭탄이 투하된다면? 상상조차 하기 싫지만, 과학자의…

2일 ago

역사상 최초로 달 궤도에 성공한 것은 인류가 아니다

1968년 12월 21일 지구를 떠난 아폴로 8호는 사상 처음으로 유인 달 궤도 비행을 해냈다. 우주선…

3일 ago

전자레인지 조리, 진짜 안전할까… 식중독 부르는 잘못된 습관

요리할 때 유용한 전자레인지는 불을 쓰지 않아도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위가 심해지는 여름철에는 특히…

4일 ago

혼자 만든 도시락, 아이는 엄마의 손길을 기억하며 꽃을 얹었다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5일 ago

“고요함까지 안아줄게요” 손말로 고백한 소방관의 사랑 이야기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