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능력과 관련해 이미지가 좋지 않은 동물이 있다면 아마도 나무늘보일 것이다. 브라질과 파나마에 서식하는 여섯 종의 나무늘보는 늘 태평스러운 움직임으로 살아가며, 마치 세상이 느린 속도로 흘러가도 전혀 상관없는 듯한 존재로 진화해왔다. 그런데 대체 무엇이 나무늘보를 이렇게 느릿느릿하게 만든 걸까?
나무늘보가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식단 때문이다. 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숲, 특히 수관에서 살아가는 나무늘보는 잎, 열매, 새순 등을 먹으며 산다.
그러나 이들의 먹이는 지방이나 단백질이 거의 없어, 에너지 절약이 곧 생존 전략이 되었다.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38미터 남짓, 땅 위에서는 겨우 30cm를 움직이는 데도 약 1분이나 걸린다. 아래 영상 속 세발가락 나무늘보의 ‘비활동’을 보면 그 느릿한 모습이 잘 드러난다.
소화 과정도 이들의 생활 리듬과 똑같이 굼뜬 편이다. 앞니가 없어 입술로 잎을 뜯어 먹은 뒤, 먹은 음식을 완전히 소화하는 데 한 달 가까이 걸린다. 대사율 역시 다른 포유류보다 40~45% 낮아, 칼로리가 적은 식단을 보완한다. 에너지가 적으니, 그 적은 연료를 최대한 오래 써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나무늘보의 움직임을 ‘약하다’고 오해해선 안 된다. 나무늘보는 가지에 몇 시간이고 매달릴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지구력을 자랑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높은 나무 위에서 보내기 때문에,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일 필요도 거의 없다.
하지만 이 느긋한 생활 방식에는 커다란 단점이 하나 있다. 바로 ‘배변’이다. 영양분이 적은 식단 탓에, 나무늘보는 보통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배설을 한다. 문제는 이때 반드시 땅으로 내려와야 한다는 것. 마치 사람들이 공중화장실을 쓰며 긴장하듯, 나무늘보에게도 이 순간은 목숨을 걸어야 하는 위험한 일이 된다.
땅에 내려오면 포식자에게 들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게다가 장운동이 느려, 한 번에 체중의 3분의 1에 달하는 분량의 배설물을 내보내야 한다. 나무늘보의 느긋한 라이프스타일이 부럽다고 느낄 때, 이 점도 함께 떠올려 볼 만하다.
여러분은 어릴 적 여름방학 숙제를 미리 해치우는 편이었을까, 아니면 방학이 끝나기 직전 이틀 동안 벼락치기로…
온라인 쇼핑이나 선물 상자를 열면 꼭 들어 있는 게 물건을 보호하는 완충재(뽁뽁이)다. 상품을 안전하게 지키기…
매일 아침, 출근길에 얼마나 시간을 쓰고 계신가요? 만약 한쪽 편도만 50분을 훌쩍 넘긴다면, 그 긴…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다가오면, 이유 없이 불안하거나 쓸쓸한 기분이 몰려올 때가 있다. 더위가 한풀 꺾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