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건강환경

기후변화가 불러온 뇌를 먹는 아메바 Naegleria fowleri

지난 여름, 인도의 케랄라 주에서 세 명의 어린이가 목숨을 잃었다. 14세 소년은 연못에서 수영을 하다, 13세 소녀는 학교 소풍 중 수영장에서 물놀이를 하다, 다섯 살 소녀는 집 근처 강에서 물에 들어갔다가 사망했다. 이들이 사망한 원인은 바로 ‘뇌를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Naegleria fowleri에 의해 발생하는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PAM)이다.

 

뇌를 감염시켜 뇌 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에 ‘뇌를 먹는 아메바’라고 불리는 Naegleria fowleri

 

현재까지 전 세계 39개국에서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고, 매년 그 수가 4.5%씩 증가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매년 약 20명이 이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에서도 감염이 보고되었다. 이 미생물은 호주의 담수 수영 장소와 미국의 그랜드 티턴 국립공원의 온천에서도 발견되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PAM 감염 사례의 85%가 여름철과 같은 더운 계절에 발생한다. 기후 변화로 인해 Naegleria fowleri가 점점 더 북쪽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PAM이 새로운 지역에서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아메바는 섭씨 30도에서 46도 사이의 온도에서 번성하며, 가뭄과 폭우가 결합한 따뜻한 물 환경에서 생존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다.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의 윤 션 교수는 PAM을 “전 세계적으로 잠재적인 신흥 의료 위협”으로 간주한다. 더운 날씨에 사람들이 물놀이를 더 많이 즐기게 되면서 노출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기후 변화로 인해 Naegleria fowleri의 서식지가 확장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이 미생물이 이전에는 추웠던 지역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뜻한 담수, 토양, 먼지 등에서 발견되는 아메바

 

오하이오 마운트 유니언 대학의 카렌 타운 교수에 따르면, PAM 감염은 주로 담수 호수, 연못, 온천, 저수지에서 수영이나 물장구, 머리 잠수와 같은 활동 중에 발생한다고 한다. 특히, 따뜻한 호스 물이나 잔디 물 미끄럼틀, 스플래시 패드, 개인 우물의 수돗물에 대한 비강 노출과 같은 드문 경로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PAM은 높은 치사율로 악명이 높다. CDC에 따르면, 이 질병에 걸린 사람들의 97% 이상이 사망하며, 미국에서는 152명 중 단 4명만이 생존했다. 이는 PAM을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증상이 독감이나 세균성 뇌수막염과 비슷해 초기 진단이 어렵고, 대부분의 경우 사후에야 기생충이 감지된다. PAM 감시 시스템이나 진단 테스트가 없는 국가에서는 진단율이 더욱 낮다.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 대학의 제이콥 로렌조-모랄레스 교수는 PAM이 과소보고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해 Naegleria fowleri의 분포와 밀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저소득 국가에서 PAM 치료제인 밀테포신을 제때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을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이 매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전염병의 확산을 촉진하고 있다. 한때 열대성 질병으로 여겨졌던 PAM 같은 질병이 점점 더 추운 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애리조나 대학의 찰스 거바 교수는 아이들이 수영할 때 머리를 물속에 넣지 않거나 코 클립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수돗물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비강 세척에 사용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VIA

ideau

Recent Posts

드라이어 전기요금 줄이는 법! 머릿결 살리고 시간도 아끼는 3가지 습관

매일 아무 생각 없이 돌리는 드라이어, 사실은 전기를 제법 잡아먹는 ‘전력 괴물’이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

9시간 ago

핵폭탄 터지면 얼마나 떨어져야 살 수 있을까?

지구에는 이미 1만 2,000발이 넘는 핵탄두가 존재한다. 만에 하나, 핵폭탄이 투하된다면? 상상조차 하기 싫지만, 과학자의…

2일 ago

역사상 최초로 달 궤도에 성공한 것은 인류가 아니다

1968년 12월 21일 지구를 떠난 아폴로 8호는 사상 처음으로 유인 달 궤도 비행을 해냈다. 우주선…

3일 ago

전자레인지 조리, 진짜 안전할까… 식중독 부르는 잘못된 습관

요리할 때 유용한 전자레인지는 불을 쓰지 않아도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위가 심해지는 여름철에는 특히…

4일 ago

혼자 만든 도시락, 아이는 엄마의 손길을 기억하며 꽃을 얹었다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5일 ago

“고요함까지 안아줄게요” 손말로 고백한 소방관의 사랑 이야기

※ 이 이야기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개된 체험담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 생각해볼…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