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이야기

그리스 메테오라 기암괴석에서 발견된 거대한 두개골, 진짜일까 파레이돌리아일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그리스 메테오라의 기암괴석 사이에서 두개골을 닮은 물체가 관찰되었다. 그런데, 바위의 크기를 고려하면 인간의 두개골로 보기에는 너무 크다.

이게 도대체 무엇일까?

 

메테오라 기암괴석 사이에서 포착된 기묘한 물체

 

그리스 북서부 핀도스 산 근처에 위치한 수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메테오라”는 지상에서 솟아오른 듯한 거대한 기암괴석들과 그 위에 세워진 고대 수도원들을 일컫는 명칭이다. 이곳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방문한다.

그런데, 두 명의 하이커가 메테오라의 거대한 사암 바위를 탐험하던 중, 바위와 바위 사이에 있는 기묘한 물체를 발견했다. 그 발견이 담긴 영상은 이후 SNS에서 퍼져나갔다. 초자연 현상 애호가인 마이라 무어는 자신의 TikTok 계정에 이 영상을 공유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 줌인과 줌아웃을 하고 색상을 바꿔봤는데, 나에게는 그 기묘한 물체가 두개골로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거인의 두개골인가? 아니면 파레이돌리아인가?

 

이 영상을 본 사용자들로부터는 다음과 같은 댓글들이 달렸다.

  • 맞아요. 이건 거대한 인간형 두개골입니다. 그 아래에 있는 건 나머지 골격일지도 몰라요.
  •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도 보이네요. 어쩌면 등산하던 누군가가 떨어져서 끼어버린 것 아닐까요?
  • 이건 두개골이 아니에요. 만약 그렇다면, 아래턱은 오래전에 떨어졌을 테니까요.
  • 그 위에도 두개골처럼 보이는 게 있지 않나요?
  • 단순히 구멍 난 돌이겠죠.
  • 거인의 두개골이 아니라 인간의 두개골이라고 생각해요.
  • 그냥 바위가 두개골처럼 보이는 거예요. 파레이돌리아 현상일 겁니다.

과연 이게 무엇일까?

 

파레이돌리아 현상

 

파레이돌리아란 모호한 것을 보았을 때, 자신이 평소에 자주 본 것처럼 인식하게 되는 지각 현상으로, 일종의 착각이다. 인간의 뇌는 무언가를 눈으로 포착했을 때,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에도 익숙한 무언가를 떠올리곤 한다. 바위의 모양이나 나뭇결이 사람의 얼굴처럼 보이거나, 구름이 동물 모양으로 보이는 것도 파레이돌리아 현상 때문이다.

파레이돌리아 현상일 가능성이 크지만, 장소가 장소인 만큼  다양한 이야기를 상상할 수 있을 것 같다.

 

VIA

ideau

Recent Posts

전신마취 후 모국어를 잃은 17세 소년, ‘외국어 증후군’ 실제 사례

2022년, 축구를 좋아하던 평범한 17세 소년이 경기 도중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결국 수술을 받기로…

1일 ago

멸종된 새가 190년 만에 돌아오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주는 단어다. 그런데, 2025년에…

1일 ago

여름·겨울철 상하지 않게 바나나 보관하는 꿀팁

마트에서 사온 바나나 한 송이를 집에 가져와 부엌 한켠에 두었을 뿐인데, 며칠 뒤 검게 물들어져…

3일 ago

배터리도 모터도 없다? 손끝 크기 ‘초소형 비행 로봇’이 하늘을 날았다

손가락 끝에 올릴 정도로 아주 작은 로봇이,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면 어떨까? 게다가 배터리도…

4일 ago

스마트폰·PC 시대, ‘눈 건강’ 지키는 간단한 방법

화면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시대라는 말이 이제는 과장이 아닐 것이다. 일이나 공부는 물론이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4일 ago

우주에서 버섯 키울 예정인 스페이스X

2025년 3월 31일에서 4월 1일(현지시간) 사이, 우주에서 버섯 재배가 시작될 예정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느타리버섯이다.  …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