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고양이 토, 무시해도 될까?

고양이를 키우는 집사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집 안 곳곳에서 고양이가 토한 흔적을 발견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고양이의 구토는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라서 그저 ‘그럴 수 있지’ 하고 넘어가게 되기 쉽다. 하지만 수의사들은 고양이가 구토하는 모습을 절대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구토는 단순한 소화 문제일 수 있지만, 때로는 더 심각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 고양이의 구토가 심각한 문제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너무 빨리 먹는 습관이 원인일 수 있다. 고양이가 식사 후 바로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토해낸다면, 이는 고양이가 너무 급하게 먹어서 생기는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에는 사료 양을 줄이거나 사료 그릇에 장애물을 넣어 먹는 속도를 줄이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만약 이런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 다른 흔한 원인으로는 헤어볼이 있다. 고양이들은 스스로 그루밍하면서 털을 삼키게 되는데, 이 털이 위에서 소화되지 않고 뭉쳐서 헤어볼이 된다. 헤어볼을 토해내는 것은 고양이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지만, 심한 경우 장을 막아버리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고양이를 빗질해 주어 털을 삼키는 양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

이렇듯 비교적 간단한 원인도 있지만, 구토가 반복되거나 다른 이상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구토는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 갑상선 문제, 만성 신장 질환 같은 심각한 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 또는 고양이가 해로운 물질을 먹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구토와 함께 설사, 식욕 부진, 무기력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고양이가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토하는 것은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번 토한다면 상황은 다르다. 빈번한 구토는 고양이의 몸이 보내는 ‘뭔가 잘못됐다’는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VIA

ideau

Recent Posts

전신마취 후 모국어를 잃은 17세 소년, ‘외국어 증후군’ 실제 사례

2022년, 축구를 좋아하던 평범한 17세 소년이 경기 도중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결국 수술을 받기로…

16시간 ago

멸종된 새가 190년 만에 돌아오다

'멸종'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주는 단어다. 그런데, 2025년에…

16시간 ago

여름·겨울철 상하지 않게 바나나 보관하는 꿀팁

마트에서 사온 바나나 한 송이를 집에 가져와 부엌 한켠에 두었을 뿐인데, 며칠 뒤 검게 물들어져…

3일 ago

배터리도 모터도 없다? 손끝 크기 ‘초소형 비행 로봇’이 하늘을 날았다

손가락 끝에 올릴 정도로 아주 작은 로봇이, 자유자재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면 어떨까? 게다가 배터리도…

3일 ago

스마트폰·PC 시대, ‘눈 건강’ 지키는 간단한 방법

화면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시대라는 말이 이제는 과장이 아닐 것이다. 일이나 공부는 물론이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3일 ago

우주에서 버섯 키울 예정인 스페이스X

2025년 3월 31일에서 4월 1일(현지시간) 사이, 우주에서 버섯 재배가 시작될 예정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느타리버섯이다.  …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