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곤충

거미를 조종하는 좀비 곰팡이? 아일랜드 동굴에서 발견된 신종 기생 곰팡이

2021년 어느 겨울, BBC 다큐멘터리 팀은 북아일랜드의 폐허가 된 화약 창고에서 촬영을 진행하고 있었다.
차가운 공기가 감도는 어두운 공간, 카메라 렌즈 너머로 뭔가 이상한 것이 보였다.

곰팡이에 뒤덮인 거미 한 마리가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있었다.
이미 생명을 잃은 듯 보였지만, 그 위치가 이상했다.

거미는 원래 자신의 거미줄 안에 머무는 습성이 있다.
그런데 이 녀석은 거미줄을 떠나 훤히 열린 공간에서 죽어 있었다.

단순히 우연일까?

곧바로 표본을 채집해 영국 CABI(국제농업생물과학센터) 연구소로 보냈고,
며칠 후, 결과가 나왔다.

 

거미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 곰팡이’

 

Ophiocordyceps(오피오코르디셉스) 속 곰팡이

 

 

자연에는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생물들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사례가 ‘좀비 개미(Zombie Ants)’ 현상이다.

개미는 Ophiocordyceps(오피오코르디셉스) 속 곰팡이에 감염되면, 곰팡이가 개미의 신경계를 장악해 높은 곳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개미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곰팡이는 개미의 몸에서 자라나 포자를 방출하며 새로운 숙주를 찾는다.

과거에도 곤충을 조종하는 기생 곰팡이는 여러 번 발견되었지만,
거미를 조종하는 곰팡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물론, 영국과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Gibellula(기벨룰라) 속 곰팡이가 거미에 기생하는 것이 확인된 적이 있지만,
이 균이 거미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증거는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거미를 조종하는 곰팡이, ‘Gibellula attenboroughii’

 

아일랜드에서 곰팡이로 뒤덮인 거미

 

표본을 분석한 결과,
거미는 Metellina merianae(메텔리나 메리아나에) 종이었다.
그리고 거미를 뒤덮고 있던 곰팡이는 완전히 새로운 종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이 신종 곰팡이에
자연 다큐멘터리의 전설인 데이비드 아텐보로(David Attenborough) 를 기려
‘Gibellula attenboroughii’ 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더 충격적인 사실이 있었다.

 

아일랜드 동굴에서 여러 사례 발견

 

이 곰팡이에 감염된 거미들은 모두 거미줄을 떠나 개방된 공간에서 죽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Metellina merianae 거미는 자기 거미줄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감염된 개체들은 알 수 없는 이유로 거미줄을 떠나, 더 노출된 곳에서 죽음을 맞았다.

마치 무언가에 조종된 듯이.

 

좀비 거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이 곰팡이는 단순히 숙주의 몸을 갉아먹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행동 자체를 바꾸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곰팡이가 거미의 신경계를 장악하고, 본래 활동 반경을 벗어나 훤히 드러난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조종한 뒤, 그곳에서 죽게 만들어, 거미의 몸을 숙주 삼아 포자를 퍼뜨리는 방식이다.

개방된 공간에서 포자가 퍼지면, 바람을 타고 더 먼 곳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이 곰팡이는 효율적인 번식을 위해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전략을 택한 것이다.

 

어떻게 거미의 뇌를 조종하는 걸까?

이제 가장 중요한 질문이 남아 있다.

“이 곰팡이는 거미의 신경계를 어떻게 조종하는 걸까?”

현재까지 밝혀진 것은 많지 않지만,
연구진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곰팡이가 특정 화학물질을 분비해 거미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는 곰팡이가 신체 내부에서 성장하면서 뇌와 신경을 직접 침범했을 가능성도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거미의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떤 화학 물질이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좀비 곰팡이’는 또 있을까?

 

지금까지 곤충을 조종하는 곰팡이들은 주로 열대우림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온대 기후에서도 ‘좀비 곰팡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거미 외에도 영향을 받는 곤충이 있을까?
다른 생물들도 이 곰팡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을까?
혹시 더 정교한 조종 능력을 가진 곰팡이도 존재할까?

이제 막 첫 번째 조각이 맞춰졌을 뿐이다.

어쩌면,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다른 곰팡이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딘가에서 또 다른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REFERENCE

ideau

Recent Posts

“이제는 현실” 2025년 남극·북극 해빙 감소, 기후 변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

남극과 북극 해빙 면적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북극의 해빙은 연중…

8시간 ago

옥수수 칼로리 & 영양소 퀴즈

삶아 먹어도 맛있고, 구워도 별미이며, 각종 요리에 활용할 수도 있어 여름철 인기 간식인 옥수수.하지만 옥수수가…

3일 ago

‘지방간’이 무서운 질병인 3가지 이유

건강검진 결과를 확인하다가 ‘지방간’ 이라는 단어를 본 적 있는가?의사도 별다른 설명 없이 "조금 신경 쓰세요"라고…

3일 ago

청소가 오래 걸리는 이유? 순서만 바꿔도 절반은 해결된다! 효과적인 청소 순서 정리

대청소도 아닌데, 청소하는 데 유독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느낄 때가 있다. 눈에 띄는 얼룩도 별로…

3일 ago

눈 건강, 몇 살부터 관리해야 할까? 35세 45세 60세 연령별 시력 보호법

나이가 들면서 눈 건강에 대한 고민이 늘어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가까운 글자가 점점…

4일 ago

목숨을 걸고 5.5g 독을 마신 사형수, 흙 한 줌이 그를 살렸다?

1581년 독일 호엔로에 영지, 사형을 선고받은 '벤델 툰브라트'는 단순히 죽음을 기다리지 않았다. 그는 영주에게 제안을…

5일 ago